2009. 9. 15.

상당법어-동화사 금당선원-효봉스님-1959년(己亥年) 11월 15일

1959년(己亥年) 11월 15일

상당법어-동화사 금당선원

법상에 올라 말씀하셨다.



내게 한 문[一門]이 있으니 동쪽을 향해 보면 서문(西門)이요, 서쪽을 향해 보면 동문(東門)이다. 남쪽과 북쪽 문도 이와 마찬가지다. 삼세(三世) 모든 부처님과 역대 조사(歷代祖師)와 천하 선지식(天下善知識)도 모두 이 문(門)을 따라 출입했고, 오늘 노승(老僧)도 이 문(門)을 따라 출입하니 시회대중(時會大衆)은 어떤 문(門)으로 출입할 것인가. 여기 이르러서는 범부와 성인, 이근(利根)과 둔근(鈍根)의 차별도 없으니 어서 일러라.



대중이 말이 없자 다시 이르시기를,

나는 본래 여관 주인이 아니며 대중도 나그네가 아니지만 만약 이르지 못하면 대신 내가 밥값을 받아야겠다. 대중은 준비가 되었는가? 한 물건도 없는 가운데 무진(無盡) 보배를 어찌하여 이르지 못하는가. 스스로 잘 용심(用心)해서 간절하게 참구(參究)하라.


하루하루 헛되이 보내다가 문득 안광(眼光)이 땅에 떨어지면 뿔뿔이 흩어지고 말 것이니, 그 재앙과 고통은 참고 견디기가 어려울 것이다. 이 고통을 대신 받을 자가 그 누구이겠는가. 권력으로 막겠는가, 금은 보배 재산으로 막겠는가, 의약이나 기술로써 막을 수 있겠는가, 아니면 영웅호걸이 막아 주겠는가.


이와 같은 것은 모두 세간의 유위법(有爲法)이니 그것은 깨어진 기왓장이나 다를 바 없다. 일등(一等)가는 기량(機量)이 아니고는 꿰뚫고 나갈 수 없다. 빈 손으로 왔다 갔다 하지 말라.

게송을 읊으시되,



한 물건도 없는 그 속의 무진 보배를


누가 능히 수용하랴


드나듦이 없는 곳에


옥호광명(玉毫光明)이 인간과 천상에 비추네.


無一物中無盡寶를 不知幾人能受用고


無出無入無爲處에 玉毫光明照人天하니라



주장자를 들어 세 번 울리고 자리에서 내려오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