無法可得分 第二十二
須菩提(수보리)-白佛言(백불언)하되 世尊(세존)하 佛(불)이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爲無所得耶(위무소득야)이까 佛言(불언)하사대 如是如是(여시여시)니라 須菩提(수보리)야 我於阿耨多羅三藐三菩提(아어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乃至無有小法可得(내지무유소법가득)이니 是名我耨多羅三藐三菩提(시명아뇩다라삼먁삼보리)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어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으신 것은 얻은 것이 없는 것이옵니까.”
부처님게서 말씀하셨다.
“그러하다 그러하다. 수보리야, 내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내지 조그마한 법도 얻은 것이 없으니 이것을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 이름하느니라.”
第二十二 無法可說分--법은 얻을 수 없다
[科 解]
마음의 본성은 지옥 갔을 때나 천당 갔을 때나 변한 것이 없고 새로운 것이 없습니다. 부처인 때나 중생인 때나 그 근본은 조금도 다르지 않은 것이므로 깨달은 것도 아니고 얻은 것도 아닙니다. 그러면 무엇을 닦아서 증득하고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성취하는가. 그것은 얻은 것이 있고 아는 것이 있던 것을 다 없애어서 아무것도 얻음이 없는 경지에 이르는 것을 깨달음이라 합니다. 그래서 무법가득분이라 한 것입니다.
原 文 須菩提 白佛言 世尊 佛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爲無 所得耶 佛言 如是如是 須菩提 我於我耨多羅三藐三 菩提 乃至 無有小法可得 是名我耨多羅三藐三菩提
解 義 수보리존자가, 「중생이 중생이 아니고 말씀하실만한 법이 아예 없다」고 하신 부처님 말씀을 듣고 또 부처님께 여쭈어 부처와 중생이 본래 둘이 아니고 따라서 부처님이 본래 얻을 것이 없다는 것을 또 다시 거듭 확인하기 위해 여쭈어 봅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으셨다고 하신 것이 그게 참말로 아무것도 얻은 것이 없는 것입니까.』
부처님은 수보리존자의 그 말씀을 그대로 긍정하시고 한걸음 더 나아가 아주 작은 법도 얻은 것이 없다고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옳다 옳다 그렇다 그렇다 수보리야,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그만 두고 조그만 법이라도 나는 얻은 것이 없다. 이렇게 얻은 것도 깨달은 것도 없는 그런 것을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 한다.』 마음에 얻었다는 생각이 하나도 없이 뚝 떨어진 것, 돈이나 명예는 그만 두고 진리나 불법을 구하는 마음까지도 다 없어져서 부처와 중생이 하나인 자리이므로 본래 얻을 것이 없는 그것을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 합니다. 얻을 것이 없고 말할 수 없는 것이 불법이란 말은 수백번 이상 중복해서 설명되었으므로 이상 생략합니다. 본래 이 대문은 다음의 정심행선분(淨心行善分)으로 계속된 대문입니다. 정심행선분에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뜻을 「고하가 없고 아인중생수자의 사상(四相)이 없는 마음으로 일체의 선법을 닦아서 얻는 것」이란 말씀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무착보살님(無着菩薩)께서 지으신 금강경론(金剛經論)의 이십칠단의법(二七斷疑法) 가운데는 이 무법가득분(無法可得分)과 정심행선분(淨心行善分)을 한 대문으로 보셨던 것입니다.
淨心行善分 第二十三
復次須菩提(부차수보리)야 是法(시법)이 平等(평등)하야 無有高下(무유고하)하니 是名我耨多羅三藐三菩提(시명아뇩다라삼먁삼보리)니 以無我無人無衆生無壽者(이무아무인무중생무수자)로 修一切善法(수일체선법)하면 卽得我耨多羅三藐三菩提(즉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하리니 須菩提(수보리)야 所言善法者(소언선법자)는 如來(여래)-說卽非善法(설즉비선법)을 是名善法(시명선법)이니라
『또 수보리야, 이 법이 평등해서 높고 낮음이 없으니 이것을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 이름 하느니라. <나>도 없고 <남>도 없고 <중생살이>도 없고 <오래산다>는 생각도 없이 온갖 착한 법을 닦아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느니라. 수보리야, 이른바 착한 법이라 함은 여래가 곧 착한 법이 아니라고 말하나니 이것이 이름이 착한 법이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