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9. 12.

상당법어-해인사 가야총림-효봉스님-1950년(庚寅年) 3월 15일

1950년(庚寅年) 3월 15일
상당법어-해인사 가야총림
 
 
법상에 올라 말씀하셨다.
 
나는 요즘 탐욕[貪]과 분노[瞋]와 우치[癡]로 살아가노라. 대중 가운데서 누가 이 삼독(三毒)으로 살아가는 이가 있다면 이리 나와서 나와 같이 생각해 보자.
 
대중이 말이 없자 이르시기를,
 
산에 사는 사람이라야 될 수 있다. 대개 출가(出家)한 사람은 반드시 부처의 뜻[佛意]을 알아야 하는 것이니, 부처의 뜻을 알려면 부처의 행[佛行]을 지녀야 하고, 부처의 말[佛語]을 하려고 하면 반드시 부처의 뜻을 알아야 한다. 그 일은 남녀와 노소와 귀천에 관계없는 것이니 다만 그 집의 빈부(貧富)를 따라 안락(安樂)을 얻게 될 것이다.
그리고 부처의 뜻을 알지 못하면 아무리 머리 위에서 물을 내고 발밑에서 불을 내며, 겨드랑이에서 바람을 일으키고 구름 일어나듯 비 쏟아지듯 설법하며, 삼승십이분교(三乘十二分敎)를 강설할 때에 천상의 꽃이 수없이 쏟아질지라도 그것은 다 마군의 말[魔說]이다. 그러나 부처의 뜻을 안 뒤에는 입만 벌리면 그 한 마디 반 마디의 말이 모두 부처의 말[佛說]이 될 것이다.
지금 대중을 둘러보면 모두 나이 젊고 몸이 튼튼하며 어떤 어려움도 당하지 않았으니 그 좋은 때를 놓치지 말고 부디 정진해야 하느니라. 모든 부처와 조사[諸佛諸祖]를 알려고 하면 무명의 마음[無明心] 그 속에서 알아야 하며, 영원히 무너지지 않는 몸[常住不壞之身]을 얻고자 하면 만물(萬物)의 변천하는 그 속에서 깨달아야 하느니라.
 
게송을 읊으시되,
 
실답게 참구하여 실답게 깨치고 실답게 수행해야
비로소 생사(生死)에서 큰 자재(自在)를 얻으리니
실(實)이란 한 글자를 잊지 않으면
마침내 혀끝에서 연꽃 피는 것을 보리라.
 
법상에서 내려오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