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9. 12.

가사불사(架裟佛事) 회향법어-해인사 가야총림-효봉스님-1949년(己丑年) 9월 10일

1949년(己丑年) 9월 10일
가사불사(架裟佛事) 회향법어-해인사 가야총림
 
 
법상에 올라 말씀하셨다.
 
세존(世尊)의 금란가사(錦란袈裟)는 정각(正覺)의 인(因)을 짓고 가섭(迦葉)이 전한 가사는 조사(祖師)의 어머니가 되었다. 오늘 이 가사는 세존의 금란가사도 아니요 가섭이 전한 가사도 아니다. 그러면 이 가사는 어떤 가사인고?
세존의 금란가사는 가섭이 그것을 받아 지니고 계족산(鷄足山)에서 선정(禪定)에 들어 머물면서 용화회상(龍華會上)의 미륵불이 세상에 나오시기를 기다리고 있으니 그것은 부처에게만 국한되고 조사에게는 통하지 않으며, 가섭이 전한가사는 육조(六祖)에 이르러 전해지지 않았으니 그것은 조사에게만 국한되고 범인(凡人)에게는 통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가사는 부처와 조사에게 국한되지 않고 범부와 성인에 다 통한다. 그러므로 오늘 대중은 이것을 입고 싶으면 입고 벗고 싶으면 벗으며, 전하고 싶으면 전하고 주고 싶으면 주라. 입고 벗기에 자재(自在)하고 전하고 주기에 걸림이 없으니, 이것이야말로 부처도 아니요 범부도 아닌 큰 해탈의 옷[大解脫服]이며, 또 천상도 아니요 인간도 아닌 큰 복밭의 옷[大福田衣]이다.
 
게송을 읊으시되,
 
누가 알리 육조(六祖)가 전하지 않은 뒤에
오늘 이 산승이 이것을 얻어 입을 줄을
사해(四海)에 바람이 없어 물결이 거울 같으니
천마(天魔)도 외도(外道)들도 침노하지 못하네.
 
또 이같이 말씀하셨다.
 
옛날 아사세 왕이 가사를 지어 문수사리(文殊師利)에게 공양할 때, 문수사리는 그 자리에서 몸을 숨겨 나타나지 않았다. 그렇게 차례로 여러 보사(菩薩)과 성문(聲聞)들에게 공양하는데 그들도 또한 그러하였으므로 왕 자신이 입었으니 그도 몸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하여 그는 크게 깨쳤으니 옛 사람들은 참으로 신기하였던 것이다.
그러면 나는 지금 대중에게 묻노니, 오늘 신심 있는 신도가 가사(袈裟)를 지어 내게 공양하기에 나는 그것을 입었는데 그러면 나는 지금 몸을 나타내었는가, 몸을 숨겼는가? 만일 몸을 나타내었다 한다면 대중은 어떤 것을 보며, 몸을 숨겼다 한다면 대중이 보지 못하는 그것은 어떤 것인가? 여기에 이르러 어떻게 해야 하겠는가?
 
대중이 말이 없자 대신 이르시기를,
 
숨기고 나타냄이 동시로라.
 
또 공덕에 두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안 공덕[內功德]이요 다른 하나는 바깥 공덕[外功德]이다. 모양이 없는 것을 안 공덕이라 하고, 모양이 있는 것을 바깥 공덕이라 한다. 안 공덕이란 망상을 쉬고 마음을 닦아 바로 안의 심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바깥 공덕이란 부처를 조성하고 탑을 만들며 스님들을 공양하고 가사불사 등을 짓는 일이다.
이번 불사에 동참한 대중은 이 인연 공덕으로 그믐날 밤에 밝은 달을 보고 천 년 묵은 복숭아 씨에서 매화를 얻을 것이다. 오늘 구월 십일(九月 十日)에 한바탕 불사를 마치면서 대중스님들을 위해 말후의 한 글귀[末後一句]를 설명하노니 그것은 마하반야바라밀(摩訶般若波羅密)이로다.
 
법상에서 내려오시다.